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통신설비 시방서

통신

by 전기적산 2023. 11. 20. 15:45

본문

반응형

02. 통신설비 일반시방서.hwp
0.04MB

 

 

일반사항

적용범위

이 기준은 정보통신설비 공사 중 구내통신설비공사, 근거리통신망설비공사, 이동통신용 구내설비공사(케이블안테나사용), 방송설비(실내음향·구내방송)공사, 방송공동수신설비공사 등 정보통신 및 정보설비공사에 대하여 적용한다.

건설공사의 이와 유사한 설비에도 이를 준용한다.

 

참고기준

관련법규

전기통신기본법령, 정보통신공사업법령

전파법령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령

전기사업법령, 전기공사업법령, 전력기술관리법령

전기통신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

전기사업법령, 전기공사업법령, 전력기술관리법령

방송법령

방송통신발전기본법령

방송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정

정보통신공사업법령

산업안전보건법령

소방시설공사업법령

전기사업법령, 전기공사업법령, 전력기술관리법령

 

관련기준

방송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정(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장비 및 정보통신망 관리운용에 관한 훈령(관세청)

접지설비·구내통신설비·선로설비 및 통신공동구등에 대한 기술기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CS 31 10 21(건축전기설비공사 일반사항)

배관 및 배선설비공사는 KCS 31 65 10에 따른다.

접지설비공사는 KCS 31 80 20에 따른다.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국토교통부)

 

참조표준

KS C IEC 60364 저압전기설비

KS C IEC 60614-1 전기설비용 전선관

KS C IEC 61000 전자기적합성(EMC)

KS C IEC 62060 2차 전지와 고정형 납축전지의 축전지 모니터링-사용자 지침

KS C 3340 PVC 옥내 전화선

KS C 3342 근거리통신케이블

KS C 3603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시스 시내쌍케이블

KS C 3604 비닐 절연 비닐시스 전화용 국내케이블

KS C IEC 61274 광 어댑터

KS C IEC 61290-3 광섬유 증폭기의 기본규격

KS C IEC 61300-1 광섬유 연결소자와 수동광부품의 기본시험측정 절차

KS C IEC 61314 광섬유 팬-아우트

KS C IEC 61753 광섬유 연결소자 및 수동광부품의 성능규격

KS C IEC 61754 광섬유 커넥터의 접속부

KS C IEC 61931 광섬유 통신 용어

KS C IEC 62005 광섬유 연결소자 및 수동광부품의 신뢰성

KS C 6920 광섬유 통칙

KS C IEC 60268 음향 시스템 기기

KS C IEC 60849 비상용 사운드 시스템

KS C IEC 60958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

KS C 6306 혼 스피커

 

용어의 정의

 

지급자재

지급자재의 종류·수량 및 인도방법은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지급자재의 인도 시에는 발주자 또는 감리자 입회하에 검수하여 합격하여야 한다.

합격 된 지급자재는 다른 자재와 구분하여 보관하여야 한다.

 

환경요구사항

현장유지

공사현장 주변(통행인·건축물·도로·매설물 등)에 재해가 미치지 않아야 한다.

공사현장 내의 사고·화재 및 도난의 방지에 노력하고, 특히 위험한 장소의 점검은 확인하여야 한다.

공사 중 소음·진동·먼지 등에 대해서도 적절한 조치를 하고, 공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공사 중 인도하는 발생자재는 전문시방서 또는 공사시방서에 따르며, 지정된 장소에 정돈하고 서류를 첨부하여 감리원에 제출한다.

 

발생자재

공사 진행에 지장이 되는 장애물은 처리하여야 한다. 다만, 시한에 대해서는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공사 완료시 가 시설물 등은 신속하게 철거하고 청소 및 뒷정리를 실시하여야 한다.

 

자재

구내통신설비

재료

국선인입 통신케이블 배관은 HI-PVC 배관 등을 사용하고 인입배관의 내경은 케이블 외경의 2 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구내 배관의 내경은 수용되는 케이블 단면적의 총 합계가 허용점유율 이하로 하여야 한다.

옥내배관은 외부의 압력 또는 충격으로부터 선로를 보호할 수 있는 기계적 강도를 가진 내 부식성 금속관 또는 합성수지관을 사용한다,

국선인입 예비배관 내에는 도입선을 넣어두고, 그 양단에 행선을 기입한 표찰을 부착하여야 한다.

간선계에 케이블트레이 또는 케이블덕트를 시공할 경우 예비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말단단자함에서 단말장치까지는 성형배선을 하여야한다.

예비배관은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서비스 캡을 끼운다.

장비

국선중계대

외함은 내구성이 있는 자재(강판·합성수지 등)로 하여야 한다.

국선착신은 가시·가청식으로 하고, 착신 순서로 응답이 가능하며, 재 호출이 가능한 것으로 한다.

분할통화는 누름버튼에 의한 분할 식으로 하고, 통화의 유보 및 유보응답이 가능하고 경보표시는 시각으로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국선중계대의 상세 사항은 설계도 및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통신단자함

단자함은 강판 또는 스테인리스스틸제로서하고 단자대 설치 및 배선을 연결하며 구조적으로 안전 하여야 한다.

단자함의 도어는 잠금장치를 부착하여야 한다.

단자함은 접지공사를 하여야 한다.

단자함의 상세 사항은 설계도 및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주 배선반(MDF)

전용실 이외에 설치하는 주배선반의 외함 및 도어는 강판제로 하여야 한다.

주 배선반 하부는 절연체로 대지 사이를 이격하여야 한다.

주배선반은 차후 증설이 용이하도록 제작하여야 한다.

주 배선반의 상세 사항은 설계도 및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근거리통신망(LAN)설비

재료

재료의 종류 및 설계도 및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구성품

케이블

UTP 케이블·동축케이블·광섬유 케이블·광배선 설비·케이블 분석기 등을 사용한다.

케이블의 상세사항은 설계도 및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광배선설비

광배선설비는 주 분배단자반·분배단자반(FDF) 및 접속코드 등으로 구성한다.

광배선설비의 상세사항은 설계도 및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장비

근거리통신망설비(LAN)

LAN 공사에서 적용 장비는 간선·간선장비·중앙장비·입출력 장비 등으로 구성한다.

LAN 장비의 상세 사항은 설계도 및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광역통신망설비(WAN)

광대역통신망 공사에 사용하는 장비는 노드시스템·시스템 본체·전원·제어프로세서·중계모듈·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모듈 등으로 구성한다.

광대역통신망 장비의 상세 사항은 설계도 및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방화벽(보안시스템)

방화벽(보안시스템)은 정보통신망 침입차단시스템 서버 및 바이러스 검색시스템 등으로 구성한다.

방화벽 장비의 상세 사항은 설계도 및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인터넷 접속 주소위치

LAN 포트 및 인터넷 접속주소 위치((IP) 할당 방법은 계획서에 따라 수행하고, IP주소 할당계획은 사용자 증가를 고려하여야 한다.

주소 할당에 대한 상세 사항은 설계도 및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방송설비

재료

단자함

단자함은 강판 또는 스테인리스스틸제로서하고 단자대 설치 및 배선을 연결하며 구조적으로 안전 하여야 한다.

단자함의 도어는 잠금장치를 부착하여야 한다.

단자함은 접지공사를 하여야 한다.

단자함의 상세 사항은 설계도 및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장비

방송 장비는 해당 기능의 신품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방송 장비의 용도·규모 및 구성 등에 대하여는 설계도서 및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구성품

방송시스템

증폭장치·입력장치·제어장치는 용도에 따라 구성하여야 한다.

기타 전원장치·터미널 반·비상전원장치 등을 용도 및 규모에 따라 구성하여야 한다.

기능

방송은 담당하는 방송구역에 대해 상황(안내방송·비상방송·BGM방송 등) 별 용도에 따라 구성하여야 한다.

증폭기(앰프) 또는 앰프 랙은 열 방산을 위해 냉각 팬을 내장하고, 내부 온도에 따라 자동 동작되도록 하여야 한다.

앰프는 출력레벨 표시장치가 있어야 한다.

구성품의 상세사항은 설계도 및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방송공동수신설비

재료

조건

지상파 텔레비전방송·FM라디오방송·이동 멀티미디어방송 및 위성방송을 수신 할 수 있는 재료로 하여야 한다.

안테나

안테나는 방송공동 수신의 종류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부식의 우려가 있는 해안가 등의 장소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내식성능이 있어야 한다.

 

구성품

안테나

방송신호를 양호하게 수신할 수 있어야 하며, 기계적화학적으로 내구성이 우수해야 한다.

소자 및 암의 재질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를 사용하여야 한다.

급전부는 완전방수 구조로 하여야 한다.

지지금구는 용융아연도금 또는 동등 이상의 방청처리를 하여야 한다.

안테나지지 요소는 기초 및 강관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안테나 소자·기초 및 지지금구에 대한 상세사항은 설계도 및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혼합·분배기 및 분기기

혼합기의 입출력 임피던스는 75 을 기준으로 한다.

분배기 및 분기기는 임피던스의 변화 없이 신호를 분배 또는 분기할 수 있어야 한다.

혼합기·분배기·분기기에 대한 상세사항은 설계도 및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증폭기

공중파수신 증폭기는 수신안테나의 신호를 대역 별로 분리하여 증폭 할 수 있어야 한다.

구내 증폭기는 지상파 텔레비전방송·FM라디오방송·이동 멀티미디어방송 및 위성방송·종합유선방송 등의 신호를 균일하게 증폭할 수 있고, 기기의 특성으로 인한 감쇄된 신호를 증폭하여야 하며, 수동으로 증폭기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혼합기·분배기·분기기에 대한 상세사항은 설계도 및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동축케이블 및 단자

동축케이블의 임피던스는 75 를 기준으로 한다.

직렬단자는 동축케이블과 커넥터로 직접 접속하여야 한다.

동축케이블 및 단자에 대한 상세사항은 설계도 및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장비

장치함

텔레비전 공청용 장치함은 노출형인 경우 함 및 문짝은 강판제로 하고, 매입형인 경우 함은 강판제, 도어는 스테인리스스틸제를 기준으로 한다.

함에는 콘센트(2, 접지극부)를 설치하여야 한다.

장치함의 크기·재료의 두께 및 마감 등 상세사항은 설계도 및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케이블 TV

케이블TV 장치의 구성은 헤드엔드(Head End) 장치·증폭기·결합기·전원삽입기 등을 참고하여 구성한다.

헤드엔드 및 증폭기의 상세사항은 설계도 및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위성방송장치

수신시스템의 구성은 대상 위성별로 시스템을 구분하여 적용하여야 한다.

방송위성시스템은 수신용 안테나·컨버터튜너·증폭기 및 전원장치 등으로 구성하고, 출력 시그널은 영상·음성·디지털·데이터 출력·재변조 등으로 하여야 한다.

통신위성시스템은 수신용 안테나·컨버터·튜너·증폭기·혼합기 및 전원장치 등으로 구성하고, 출력 시그널은 영상·음성·디지털·데이터 출력·재변조 등으로 하여야 한다.

위성안테나의 형태·설치기기·출력·주파수·설치기기의 특성은 설계도 및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시공

구내통신설비 시공

시공조건

기본 사항

안전수칙을 준수하여야 한다.

시공 중 먼지 및 습기 등으로 인해 시공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어야 한다.

회로 팩 삽입 시는 셀프의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한 후 순차적으로 삽입하여야 한다.

사전 확인

소요자재·물량·기계배치도 및 설치 공간 등을 확인하여야 한다.

전원설비의 도입·주 배선반·통신 단자함 설치위치 등을 확인 하여야 한다.

시공 준비

기기 반입구 위치 및 가능성을 판단하여야 한다.

공간의 조건(크기·높이·방수 등) 및 자재창고 등의 확보 상태를 확인하여야 한다.

작업준비

교환기 설치 전에 설치장소 주변의 이물질을 제거 및 청소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장비는 상단부터 하단으로 청소하고, 단자를 청소할 때는 기기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공사 간 간섭

설치

기기는 설치형태에 따라, 바닥 또는 벽에 견고히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탁상형인 경우 책상의 정 위치에 배치하고 이동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주 단자함 또는 주 배선반은 인입 관로의 분계 점과 가장 가까운 곳에 설치하여야 한다.

단자함 내 배선은 질서 정연하게 배열하여야 하며, 케이블 접속측은 납땜 또는 랩핑하여야 한다.

전원장치는 견고히 부착하여야 하고, 축전지의 설치대는 부재의 수평 및 수직을 조정하고 및 볼트 체결을 확실히 하여야 한다.

기기가 서지의 피해가 우려되는 경우는 SPD(서지보호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주배선반은 재해의 우려가 없고, 관리가 용이한 장소에 설치하고, 배선은 케이블공사로 하여야 한다.

접속

배선 구간에서 선로 간 직접 연결이나 분기를 위해서는 접속함을 설치하여야 한다.

주 단자함에서 실내까지 배선도중 선로의 분기 및 접속을 위하여 중간단자함을 설치하여야 한다.

기기 설치

단말기기 설치는 설계도 및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단자함 설치는 설계도 및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배선 시공

동일 배관 및 박스 내에 데이터선과 전원선을 함께 입선하지 않아야 한다. 다만, 박스 내부를 격벽으로 이격을 했을 경우에는 제외한다.

전선관 내에서는 전선을 접속해서는 안 되며, 박스·풀박스 또는 기구 내에서 하여야 한다.

전선을 기기 및 장비에 연결할 때는 압착단자를 사용하고, 전선 상호간 접속 시 압착슬리브를 사용하여 도체를 전기적·기계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하여야 한다.

상세 사항은 설계도 또는 및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전화선 시공

옥내에 설치하는 배선은 케이블 또는 전화선으로 하고, 옥외에 설치하는 배선은 옥외용 케이블 또는 옥외용 전화선을 사용하여 시공한다.

국선접속설비와 단말 장치 간에 설치된 선로의 전송 손실을 측정하여 기준 이내로 시공하여야 한다.

선로의 상호간 선로와 대지 간 등의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기준 이내로 시공하여야 한다.

배선의 손실 및 절연저항 기준 값은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근거리통신망(LAN)설비 시공

 

시공조건 확인

시공 순서

간선 설치공사와 지선 설치공사로 구분하여 시공한다.

통합배선 시스템으로 하는 경우는 이에 대한 공사가 완료 된 후 LAN시스템 공사를 시행하여야 한다.

단계 별 시공

간선 설치공사 시 LAN 기기·장비의 접속을 하여야 한다.

지선 설치공사 시 배선 시공·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설치·중간 배선반과의 접속을 하여야 한다.

시공 전 협의사항

건축 시공자와 건물 층고·바닥 구조 및 마감·내부 마감·TPS 크기·건축물 미관 등의 관련사항과 정보통신실 위치 및 넓이 등에 관하여 협의 하여야 한다.

전기공사 부분은 장비전원 용량·케이블 루트·접지 등에 관하여 협의하여야 한다.

기계설비 공사 부분과 항온항습기·소화설비 등을 협의하여야 한다.

 

공사 간 간섭

간선스위치

장비의 사용 전압 및 주파수는 시공 전에 확인하여야 한다.

모듈의 DIP 스위치는 LAN 구성에 맞추어 조정하여야 한다.

스위치 간의 간격은 광커넥터가 지나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스위치 장착 후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모든 장비 구성이 완료된 후 소프트웨어 구성과 이상 유무를 확인하여야 한다.

간선스위치 시공 상세사항은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라우터(Router)

장비의 사용 전압 및 주파수는 시공 전에 확인하여야 한다.

모듈의 DIP 스위치는 LAN 구성에 맞추어 조정하여야 한다.

라우터 간의 간격은 광커넥터가 지나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라우터 장착 후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모든 장비 구성이 완료된 후 소프트웨어 구성과 이상 유무를 확인하여야 한다.

라우터 시공 상세사항은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워크그룹(Work-group) 스위치

장비의 사용 전압 및 주파수는 시공 전에 확인하여야 한다.

DIP 스위치는 LAN 구성에 맞추어 조정하여야 한다.

스위치 간격은 광커넥터가 지나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스위치 장착 후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모든 장비 구성이 완료된 후 소프트웨어 구성과 이상 유무를 확인하여야 한다.

워크그룹스위치 시공 상세사항은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배선

간선 계통에서 스위치 사이 접속은 커넥터로 확실하게 접속 및 고정하고, 향후 각 커넥터를 구별하기 위해 커넥터에 표시하여야 한다.

간선계통 스위치와 광 분배함과의 접속은 커넥터로 확실하게 접속 및 고정하고, 향후 각 커넥터를 구별하기 위해 커넥터에 표시하여야 한다.

라우터와 간선계통 스위치와의 접속은 커넥터로 확실하게 접속 및 고정하고, 향후 각 커넥터를 구별하기 위해 커넥터에 표시하여야 한다.

워크그룹스위치 간은 스타킹 케이블로 확실하게 접속, 고정시켜야 한다.

워크그룹스위치와 광 분배함과의 접속은 커넥터로 확실하게 접속 및 고정하고, 향후 각 커넥터를 구별하기 위해 커넥터에 표시하여야 한다.

워크그룹스위치와 중간 배선반과의 연결은 패치 케이블로 확실하게 접속 및 고정하고, 향후 각 커넥터를 구별하기 위해 커넥터에 표시하여야 한다.

배선 시공 상세사항은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방송설비 시공

시공조건

배관을 사용하는 경우, 일정한 거리 이상이 되거나 옥내와 옥외가 연결되는 곳 등에는 풀박스를 사용하여야 한다.

전선 상호간의 접속은 박스 내부에서 하고, 전선 커넥터 등을 사용하여야 한다.

단자함 또는 박스에서 증폭기로 연결하는 배선은 노출되지 않는 공법으로 시공하여야 한다.

스피커 배선의 상세사항은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기기 시공

기기 시공

기기는 가능한 한 설치장소까지 포장된 상태로 반입하여야 한다.

운반·포장 및 해체 시에는 강한 진동이나 충격을 주지 않도록 하여야 하고, 각 설비에 손상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기기를 설치 장소에 반입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제작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증폭기(앰프) 설치

증폭기(앰프) 또는 앰프 랙은 운용이 편리한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설계도서 및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방송실을 구성하는 경우, 설치장소의 바닥 하중 및 기기 설치환경 등을 검토하고 설치하여야 한다.

스피커 설치

스피커를 천장에 매입 설치하는 경우 천장 내부에 지지 공법을 적용하여 사용 중 자중으로 인한 스피커의 처짐이 없도록 부착하여야 한다.

천장에 매입되는 스피커 위치는 타 설비 기구(조명기구·급배기구·감지기 등)와 조화되도록 하여야 한다.

스피커를 벽면에 매입하여 설치하는 경우 스피커 설치용 기구 박스는 기울어짐이 없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스피커를 벽면에 부착(노출)하여 설치하는 경우 스피커 설치 위치에 기구용 박스를 설치하여 배선하여야 한다.

옥외에 설치하는 스피커는 자연 환경(바람···먼지 등)에 견디는 형식 또는 공법으로 하여야 한다.

기기 설치

방송용 장비접속은 접속기구(단자·커넥터·잭 등)를 사용가하고, 접속 기구는 접속하는 전선의 시방(전압·전류·도체의 종류·굵기 등)에 적합한 구조로 하여야 한다.

배선용 개구부는 전선의 피복을 손상하지 않는 공법으로 처리하여야 한다. 다만, 피복 손상의 우려가 없는 경우는 예외로 한다.

접지

강전류 회로를 포함한 기기는 접지공사를 하여야 한다.

유도 장애로 인하여, 음성회로에 발생하는 잡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선의 편조선은 접지공사를 하여야 한다.

실드 된 트위스트페어(twist pair)선 사용 시 실드는 접지공사를 하여야 한다.

기기 시공의 상세사항은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방송공동수신설비 시공

시공조건

기기 배치도에 따라 기기 설치위치(바닥·벽면·천장 등)에 기기의 위치를 표시하는 마킹(Marking) 작업을 하여야 한다.

레벨링(Leveling)으로 기기를 설치하기 전에 바닥을 보정하여 레벨차를 고르게 하여야 한다.

작업 준비

(RACK)

장치의 열이 동일한 레벨이 되도록 장비에 부착된 기구로 높이를 조절하여 수직 상태를 조정하여야 한다.

장치를 바닥에 마킹된 위치로 이동시키고, 랙에 부착된 기구로 랙과 랙 사이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여야 한다.

셀프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수직 프레임에 설치하고, 셀프 취부 순서는 하단부터 상단으로 설치 및 고정하고, 하드웨어 설치는 운용에 편리하도록 하여야 한다.

혼합기 및 증폭기

안테나에 혼합기를 설치하는 경우 견고하게 설치하고, 혼합기 내부에 우수가 스며들지 않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증폭기 입출력 및 전원단자에는 유도뢰에 대해 보호하는 서지보호장치(SPD)를 설치하여야 한다.

안테나 기초

기초 설치는 안테나를 충분히 지지하여야 하고, 시공 시 관련분야 시공자와 협의 및 조정하여야 한다.

기초의 크기·안테나 지지방법 등은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공사 간 간섭

안테나 시공

안테나 시공은 풍속·적설량·강우량·온도습도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제작하고 설치하여야 한다.

안테나 설치는 높이 방향 등을 조정한 후 지지대에 견고하게 설치하고, 지지는 견고하게 하여야 한다.

안테나는 방위각과 앙각을 조정하여 최대 신호 강도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최대 신호강도의 위치에 완전 고정하여야 한다.

급전선

외부에서 무리한 힘을 가하지 말고, 운반 및 보관에 특히 주의하여야 한다.

급전선은 오물 및 습기 등을 제거 후 설치하여야 한다.

지지대 위 고정은 외부 접촉을 적게 하고, 안테나에서 장치까지 가장 가까운 통로로 배선하여야 한다.

급전선은 바람에 흔들림이 없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절단 작업은 케이블이 변형되지 않도록 하고, 접속 시 완전한 공법으로 하여야 한다.

케이블 시공

케이블 포설은 가능한 한 최단거리로 꼬임이 없도록 하고, 동축케이블과 전원케이블은 이격하고, 향후 증설을 고려하여야 하며, 케이블의 곡률반경은 외경의 5 배 이상을 유지하여야 한다.

단자 결선 및 납땜 시에 기기를 보호하고, 납땜 시에는 열에 의해 심선의 피복에 손상 또는 피복이 말리는 일이 없도록 하여야 하며, 동축케이블의 단말 처리는 해당하는 금구로 하고, 중심도체와 외부도체 간 간격을 유지하여야 한다.

케이블 접속

동축케이블 사이·동축케이블과 전송 장비 사이·전송 설비 사이의 연결은 커넥터 접속을 하여야 한다.

케이블 접속 시 용도와 기능에 따라 적당한 커넥터를 사용하여야 한다.

배선

음향선 배선은 가능한 한 전원 및 비디오 케이블과 평행으로 겹쳐 시공하지 않고, 선을 단자에 연결할 때에는 납땜 또는 압착 단자를 사용하여야 하며, 배선이 완료 후 선별 표시를 하여야 한다.

비디오 선 배선은 케이블 조정 및 커넥터 접속이 완료되면 배선하고, 전원선과 분리 포설하여야 하며, 포설 완료 후 선별 표시를 하여야 한다.

제어선 및 카메라 케이블은 배선 번호 표시 후 커넥터에 연결하여야 한다.

접지

장비 접지는 폐회로를 구성하지 않도록 하고, 접지단자에 본딩하여야 한다.

통신용 접지단자를 설치하여야 한다.

전원

전원은 분전함에서 전원선을 인출하여 기기에 공급하고, 포설시 가능한 한 음향 및 영상(A/V)용 케이블과 평행하지 않아야 하며, 각 기기에 교류전원으로 인한 노이즈가 유기되지 않도록 기기의 외곽으로 배선하여야 한다.

전원공급 장치는 전용 분전반으로 설치하고, 기기용 회로는 배선용차단기로 보호하여야 한다.

 

현장품질관리

구조검사

설계도 및 제작도에 표시되어 있는 구조인가를 확인하여야 한다.

구조에 대한 설명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동작시험 및 검사

기기에 대하여 요구되는 기능의 동작 시험·검사 및 조정을 실시하여야 한다.

개별동작 및 연동동작이 설계도서의 조건에 만족하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종합동작시험 및 시운전

기기 마다 신호를 실제 또는 모의 입력하여 요구되는 기능의 동작 시험·검사 및 조정을 실시하여야 한다.

종합적인 조정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설계도서에 표시되어 있는 기능을 만족시키는 범위로 하여야 한다.

정해진 결과가 나오지 않는 경우 모의 입출력 등으로 인한 방법으로 조정을 지속하여야 하며, 결과가 만족 한 후에는 미세 조정을 실시하여야 한다.

 

기타

공사시방서에 시험 및 검사에 대해 지정하지 않은 사항은 제작자 자체기준에 의한 시험을 하여야 한다.

모든 시험 결과는 기록하고 시험성적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상세 사항은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